반응형

내 생각

  • 평생에 이야기 책은 거의 읽어본적이 없었다.
  • 만화책, 드라마, 영화는 엄청 봤다.
  • 개인적으로 소설책이랑은 다른게 없다고 생각했는데 글을 써보니 표현력의 차이가 나는것 같다.
  • 소설을 써보고 싶어 2024-01-03 부터 아무 생각없이 쓰기 시작했다.
  • 4~5일 지나자 앞에 썼던 내용이 정확히 기억이 안나기 식작한다. ㅠ.ㅠ;;
  •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 소설 쓰는법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 지금은 헛짓 같지만 분명 피가되고 살이 될거라 믿는다.
  • 정리를 하고나니 어떤것부터 하는게 좋을지 방향이 어느정도 보인다.

전체과정

  1. 아이디어 수집
    주제, 설정, 캐릭터, 플롯 등에 대한 아이디어를 수집한다. (경험, 관찰, 연구, ...)
  2. 아웃라인 작성
    소설의 청사진을 만들어야 한다.
    주요 사건, 캐릭터의 성장, 결말 등 전체적인 흐름을 작성한다.
    (아이디어만 가지고 글을 쓰려다 보니 계속 내용이 변경됐는데 아웃라인을 안만들어서 그런거 같다.)
  3. 초안 작성
    소설의 초안을 작성한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스토리를 풀어나간다.
  4. 수정
    초안을 다시 읽으며 스토리를 개선하고 문장을 다듬는다.
    이 과정은 여러 번 반복한다.
  5. 교정
    맞춤법, 문법, 구두점 등의 오류를 수정한다.
  6. 출판
    출판사 제출 (이게 투고라는거 같다)
    자체 출판

아이디어 수집 방법

  • 관찰
    •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관찰하고, 그것들을 어떻게 스토리에 녹여낼 수 있을지 생각해보기
    • 사람들의 대화, 행동, 반응은 캐릭터를 만드는 훌륭한 소스가 될 수 있다.
  • 개인적인 경험
    • 자신의 경험은 강력한 아이디어의 원천이 될 수 있다.
    • 겪은 일, 느낀 감정, 배운 교훈 등을 바탕으로 스토리를 만들어보기
  • 연구
    • 특정 주제에 대해 깊이 연구하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 역사적 사건, 과학적 발견, 특정 문화에 대한 소설을 쓸 때 유용하다.
  • 브레인스토밍
    •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나열해 보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고민하지 말고 모든 생각을 나열하고, 그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선택
  • 인스피레이션 찾기
    •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음악을 듣는 것처럼 다른 창작물을 즐기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웃라인 작성 방법

  • 중심 아이디어 결정
    • 소설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결정 (소설의 주제, 중심 캐릭터, 주요 사건, ...)
  • 캐릭터 개발
    • 주요 캐릭터들의 개요 작성 (배경, 성격, 목표, 변화, ...)
  • 플롯 개발
    • 소설의 주요 사건들을 결정하고, 그 사건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계획 (소설의 시작, 중간, 결말)
  • 장면 설정
    • 각 장면이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그 장면이 어떻게 전체 스토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결정
  • 리뷰 및 수정
    • 아웃라인을 반복적으로 읽고 수정

초안 작성 방법

  • 아웃라인 따르기
    • 이미 작성한 아웃라인을 따라 소설을 작성한다.
  • 자유롭게 쓰기
    • 초안 작성 단계에서는 완벽함보다는 아이디어를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 캐릭터 대화 쓰기
    • 캐릭터의 대화를 작성하면서 그들의 성격과 동기를 보여준다.
    • 대화는 캐릭터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 장면 설명
    • 독자가 상황을 이해 할 수 있게 각 장면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자세히 설명한다.
  • 감정과 분위기 전달
    • 독자가 스토리에 몰입 할 수 있게 캐릭터의 감정과 장면의 분위기를 설명한다.
  • 결말 작성
    • 주요 사건의 해결과 캐릭터의 변화를 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