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 생각
- 평생에 이야기 책은 거의 읽어본적이 없었다.
- 만화책, 드라마, 영화는 엄청 봤다.
- 개인적으로 소설책이랑은 다른게 없다고 생각했는데 글을 써보니 표현력의 차이가 나는것 같다.
- 소설을 써보고 싶어 2024-01-03 부터 아무 생각없이 쓰기 시작했다.
- 4~5일 지나자 앞에 썼던 내용이 정확히 기억이 안나기 식작한다. ㅠ.ㅠ;;
-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 소설 쓰는법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 지금은 헛짓 같지만 분명 피가되고 살이 될거라 믿는다.
- 정리를 하고나니 어떤것부터 하는게 좋을지 방향이 어느정도 보인다.
전체과정
- 아이디어 수집
주제, 설정, 캐릭터, 플롯 등에 대한 아이디어를 수집한다. (경험, 관찰, 연구, ...) - 아웃라인 작성
소설의 청사진을 만들어야 한다.
주요 사건, 캐릭터의 성장, 결말 등 전체적인 흐름을 작성한다.
(아이디어만 가지고 글을 쓰려다 보니 계속 내용이 변경됐는데 아웃라인을 안만들어서 그런거 같다.) - 초안 작성
소설의 초안을 작성한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스토리를 풀어나간다. - 수정
초안을 다시 읽으며 스토리를 개선하고 문장을 다듬는다.
이 과정은 여러 번 반복한다. - 교정
맞춤법, 문법, 구두점 등의 오류를 수정한다. - 출판
출판사 제출 (이게 투고라는거 같다)
자체 출판
아이디어 수집 방법
- 관찰
-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관찰하고, 그것들을 어떻게 스토리에 녹여낼 수 있을지 생각해보기
- 사람들의 대화, 행동, 반응은 캐릭터를 만드는 훌륭한 소스가 될 수 있다.
- 개인적인 경험
- 자신의 경험은 강력한 아이디어의 원천이 될 수 있다.
- 겪은 일, 느낀 감정, 배운 교훈 등을 바탕으로 스토리를 만들어보기
- 연구
- 특정 주제에 대해 깊이 연구하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 역사적 사건, 과학적 발견, 특정 문화에 대한 소설을 쓸 때 유용하다.
- 브레인스토밍
-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나열해 보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고민하지 말고 모든 생각을 나열하고, 그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선택
- 인스피레이션 찾기
-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음악을 듣는 것처럼 다른 창작물을 즐기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웃라인 작성 방법
- 중심 아이디어 결정
- 소설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결정 (소설의 주제, 중심 캐릭터, 주요 사건, ...)
- 캐릭터 개발
- 주요 캐릭터들의 개요 작성 (배경, 성격, 목표, 변화, ...)
- 플롯 개발
- 소설의 주요 사건들을 결정하고, 그 사건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계획 (소설의 시작, 중간, 결말)
- 장면 설정
- 각 장면이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그 장면이 어떻게 전체 스토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결정
- 리뷰 및 수정
- 아웃라인을 반복적으로 읽고 수정
초안 작성 방법
- 아웃라인 따르기
- 이미 작성한 아웃라인을 따라 소설을 작성한다.
- 자유롭게 쓰기
- 초안 작성 단계에서는 완벽함보다는 아이디어를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 캐릭터 대화 쓰기
- 캐릭터의 대화를 작성하면서 그들의 성격과 동기를 보여준다.
- 대화는 캐릭터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 장면 설명
- 독자가 상황을 이해 할 수 있게 각 장면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자세히 설명한다.
- 감정과 분위기 전달
- 독자가 스토리에 몰입 할 수 있게 캐릭터의 감정과 장면의 분위기를 설명한다.
- 결말 작성
- 주요 사건의 해결과 캐릭터의 변화를 쓴다.
반응형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 [2024-01-12] 나혼자 영혼 각성자 아이디어 정리 (0) | 2024.01.12 |
---|---|
[소설] [ 2024-01-10] 플롯 (0) | 2024.01.10 |
[소설] [2024-01-10] 나혼자 영혼 각성자 (0) | 2024.01.10 |
[소설] [2024-01-09] 나혼자 영혼 각성자 (0) | 2024.01.09 |
[소설] [2024-01-08] 저작권 문제가 떠올라 찾아보고 생각을 써본다. (0) | 2024.01.08 |